페이지 정보
김선태 - 들꽃의 품격 (2025.09.21~09.30)
본문
김 선 태 - 들꽃의 품격
(2025.09.21~09.30)
갤러리 자인제노는 오는 9월 21일부터 30일까지 김선태 작가의 개인전 《들꽃의 품격》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들꽃을 주제로 한 다채로운 아크릴 회화를 통해, 자연과 인간 존재가 교차하는 깊은 울림을 전하고자 합니다.
김선태 작가에게 들꽃은 단순한 풍경의 일부가 아닙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꿋꿋이 피어나고, 스러짐 뒤에도 다시 생명을 이어가는 들꽃은 인내와 순환, 생명력의 상징이며 동시에 인간 삶의 자화상과도 같습니다. 꽃잎 하나하나의 고유한 색채와 형상은 기쁨과 슬픔, 희망과 좌절 같은 인간의 정서를 은유하며, 작은 존재 속에 깃든 거대한 진리를 드러냅니다. 이는 곧 동양철학이 말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세계, 곧 인간과 자연이 둘이 아님을 증명하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맨드라미〉 시리즈는 강렬한 색채와 질감을 통해 생명의 불꽃 같은 에너지를 전하고, 군집된 형상 속에서 연대의 힘을 암시합니다. 〈모란〉은 생명의 풍요와 피어남의 숭고함을 담아내며, 〈민들레〉는 홀씨가 흩어지는 찰나에 삶의 순환과 무상(無常)을 전합니다. 또한 〈엉겅퀴〉는 날카로운 외피 너머 숨어 있는 강인함을 통해 고통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존재의 역설을 이야기합니다.
작가는 말합니다.
“들꽃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인간 못지않게 숭고한 생명체입니다. 그 겸허하면서도 강인한 생명력은 제 작업 속에서 풍경이 아닌 인간 존재의 비유로 자리합니다. 작품 앞에 선 관람자들이 자기 삶을 비추어 보고, 위안과 성찰을 얻기를 바랍니다.”
이번 《들꽃의 품격》은 꽃을 바라보는 단순한 감상의 차원을 넘어, 생명과 존재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는 자리입니다. 들꽃의 고요한 품격 속에서 우리는 스스로의 내면을 마주하고, 삶을 견디게 하는 보이지 않는 힘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들꽃의 품격
들꽃은 단순히 눈을 즐겁게 하는 존재가 아니라, 이 지구상에서 인간 못지않게 가장 숭고하고 고귀한 생명체이다. 그 겸손하고도 강인한 생명력은 늘 나를 사로잡아, 작품 속에서 들꽃을 단순한 소재가 아닌 존재론적 대상으로 다루도록 이끌었다.
들꽃은 생명력의 상징이자 끈기의 표상이다. 거친 바람과 척박한 땅에서도 꿋꿋이 피어나고, 이내 다시 시들어도 계절이 오면 새로운 꽃을 틔운다. 그 순환과 인내는 인간의 삶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나의 작업은 들꽃을 단순한 풍경이나 장식으로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 내면의 다양한 감정과 삶의 궤적을 비견하여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둔다. 들꽃을 통해 인간 존재의 고귀함과 숭고함을 다시 사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품의 본질적인 의도이다.
따라서 들꽃은 내게 있어 단순한 자연 일부가 아니라, 인간의 자화상과 같은 존재이다. 기쁨과 슬픔, 희망과 좌절, 그리고 그 모든 희로애락의 순간들을 들꽃의 모습에서 읽어낼 수 있다. 관람자들 또한 들꽃을 바라보며 자기 삶을 투영하고, 그 속에서 위안과 성찰을 발견하기를 바란다. 들꽃을 향한 나의 시선은 결국 인간과 자연이 서로를 비추는 거울임을 보여주고자 하는 데 있다.
김 선 태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 전공
현: 예원예술대학교 명예교수
<개인전>
1995 제1회 개인전 (민촌아트센터: 전주)
1998 제2회 개인전 (민촌아트센터: 전주)
2001 제3회 개인전 (전북학생회관: 전주)
2002 제4회 개인전 (민촌아트센터: 전주)
2003 제5회 개인전 (이오스 갤러리: 서울)
2004 제6회 개인전 (녹색 갤러리: 서울)
2005 제7회 개인전 (나고야: 일본)
2008 제8회 개인전 (민촌아트센터: 전주)
2010 제9회 개인전 (오스하우스 : 전주)
2011 제10회 개인전 (박스 갤러리: 전주)
2012 제11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3 제12회 개인전 (파리주재 한국문화원: 프랑스)
2014 제13회 개인전 (K갤러리: 서울)
2016 제14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7 제15회 개인전 (스파라쿠아: 전주)
2017 제16회 개인전 (우진문화공간: 전주)
2019 제17회 개인전 (태조궁: 전주)
2021 제18회 개인전(인사아트센터: 서울)
2022 제19회 개인전(한국전통문화전당)
2025 제20회 개인전(자인제노: 서울)
<2인전. 아트페어, 그룹>
2012 김선태-김동주 동행전 (전북예술회관: 전주)
2013 김선태-김두해 2인전 (동이미술관: 전주)
2014 암스테르담 아트페어 (네덜란드)
2015 싱가포르 아트페어 (싱가포르)
서울 어포더블 아트페어(DDP:서울)
광주 아트페어 (광주)
2016 마이애미 아트페어 (미국)
2018 한국구상미술대전(예술의 전당: 서울)
<수상>
1984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1989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1990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1991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1998 미술지도자상-환경부장관상(1998)
2002 제8회 전라미술상 수상
2018 한류문화공헌 대상수상(한국언론기자협회)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3점), 전라북도미술관(4점), 교동미술관
K갤러리, ㈜정석케미칼, ㈜코뎀, LG상사, ㈜라인종합건축사, 천양P&B㈜
마곡오피스텔, 천주교전주교구청, 임&고 세무법인, 미립회계법인
삼익회계법인, 노무법인 이현, 웰컴저축은행, 광진기계 외 다수
<저서, 논문>
2007 유화인물화기법 (재원출판사)
2010 김선태 미술평론집 형형색색1.2권 (신아출판사)
2014 김선태 미술평론집 채움과 비움 (현대문학)
2016 해방 이후 전북미술사 (전북도립미술관)
2017 서양화가 추광신 작품론 (익산문화재단)
2017 서양화가 김현철 작품론 (익산문화재단)
2018 서양화가 권영술 작품론 (전주문화재단)
1990~현재: 작가 평론(200여 편)
2021 전주미술사 편찬(전주시청)